카테고리 없음
새로운 소비 심리 트리노믹스에 대해서 알아보자
Sniply
2025. 10. 14. 14:00
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소비 심리용어
트리노믹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1. 트리노믹스란?
먼저, “트리노믹스(Trinomics)”라는 단어는 다음 두 가지 주요 사용 사례로 확인됩니다:
- Trinomics B.V. — 유럽 기반의 컨설팅/정책 자문 회사
- “트리토노믹스 (Treat + Economics)” — 소비 트렌드를 설명하는 신조어
각각을 구분해 보겠습니다.
2. Trinomics B.V. (정책 자문 회사)
2.1 개요
- Trinomics B.V.는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기반으로 한 컨설팅 / 정책 자문 기관입니다. (Trinomics)
- 이 회사는 에너지(Energy), 환경(Environment), 기후 변화(Climate Change) 등 지속 가능성(sustainability)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 연구, 분석, 자문을 제공합니다. (Trinomics)
- 과거 명칭은 Triple E Consulting (Energy, Environment & Economics)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(eea.europa.eu)
2.2 미션과 비전
- 이 회사는 공공기관, 유럽 연합(EU), 국가 정부, NGO 등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정책 개발과 영향 평가(impact assessment)를 지원합니다. (Trinomics)
- 비전으로는 기후 중립(climate neutrality), 순환 경제(circular economy), 지속 가능한 사회(sustainable society)의 실현을 자주 제시하고 있습니다. (Trinomics)
- 미션으로는, 전략적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공공 정책 결정 지원, 법령 및 전략 개발 보조, 영향 평가 및 실행 가능성 진단 등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나와 있습니다. (Trinomics)
2.3 주요 사업 영역 및 전문성
Trinomics는 크게 다음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활동 중입니다:
| 분야 | 주요 역할 / 서비스 |
|---|---|
| 에너지 (Energy) | 재생 에너지, 전력 시장, 수소 인프라, 에너지 효율, 시장 설계 및 정책 분석 등 (Trinomics) |
| 환경 / 기후 변화 | 온실가스 감축 정책, 적응 전략, 기후 금융, 배출권 시장, 기후 리스크 분석 등 |
| 순환 경제 (Circular Economy) | 자원 효율, 폐기물 정책, 재활용 체계, 순환 거버넌스 등 |
| 영향 평가 / 거버넌스 | 정책 영향 분석, 비용-편익 분석, 규제 설계, 제도 평가 등 |
| 지역 개발 및 지속 가능성 | 지역 정책 자문,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, 녹색 인프라 전략 등 |
이러한 사업들은 유럽 연합 및 회원국 정부, 지방 정부, 국제 기구 등과 협업하는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됩니다. (Trinomics)
2.4 프로젝트 및 과제 예시
Trinomics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는 굉장히 다양합니다. 일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유럽 여러 국가(프랑스, 네덜란드, 독일 등)의 수소 시장 및 규제 분석 프로젝트 (Trinomics)
- 자연 가치 평가(nature valuation) 및 생태적 서비스(ecosystem services)의 정량적/정성적 평가를 결합한 연구 프로젝트 (Trinomics)
- 에너지 성능 개선, 재생 에너지 인프라 정책 설계, 에너지 전환 영향 분석 등 (Trinomics)
2.5 조직 구조 및 팀 구성
- Trinomics의 조직은 다학제적(interdisciplinary) 팀 구조로, 경제학, 환경 과학, 법학, 지리학, 정치학 등 다양한 배경의 인력이 함께 협업합니다. (Trinomics)
- 팀 규모는 2012년 설립 당시 약 10명 수준에서 출발해, 2021년 기준으로 50명 이상으로 확대되었다는 언급이 있습니다. (Trinomics)
- 여러 국가와 언어 환경에서 일할 수 있는 국제적 구성원을 확보하고 있다는 설명도 보입니다. (Trinomics)
2.6 영향력 및 역할
- Trinomics는 유럽 연합의 정책 및 연구 사업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, EU의 투명성 등록(lobby register)에도 등재되어 있으며, 관련 로비 활동 정보가 공개되어 있습니다. (lobbyfacts.eu)
- 또한 유럽 환경청(EEA)과 같은 기관에서도 Trinomics를 데이터 제공 조직 또는 파트너로 소개하고 있습니다. (eea.europa.eu)
3. “트리토노믹스 (Treat + Economics)” — 소비 트렌드 용어로서의 해석
한편, 국내 언론 및 마케팅 매체에서는 “트리토노믹스(트리노믹스)”가 “경기 침체 속에서도 소비를 포기할 수 없기에, 작은 사치나 경험 중심 지출에 집중하는 소비 패턴”을 뜻하는 신조어로 활용되기도 합니다. 이 쪽이 아마 질문 의도와 더 가까울 수도 있습니다.
3.1 개념 및 배경
- ‘트리토노믹스’는 영어 단어 “treat (선물, 대접)” 와 “economics (경제)” 를 결합한 합성어입니다. ‘트리토노믹스’ = ‘선물 경제’ 정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 (매일경제)
- 이 용어는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 가운데서도 소비가 완전히 꺾이지 않고, 자기 보상(self-treat) 소비가 부각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고가의 명품 대형 지출은 줄이지만, 커피나 소소한 취미 상품, 공연 티켓 등에 돈을 쓰는 식이죠. (매일경제)
- 이는 전통적으로 경기 침체기 소비자의 심리를 설명하는 립스틱 효과(Lipstick Effect) 개념을 진화시킨 쪽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. (포커스온경제)
3.2 특징 & 소비 양상
트리토노믹스가 의미하는 소비 흐름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
- 큰 지출 감소, 작은 사치 증가
고가의 내구재(자동차, 가전, 고가 가구 등)는 소비를 줄이고,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소비(커피, 디저트, 향수, 공연 티켓 등)에 지출을 집중하는 현상. (다음) - 경험 중심 소비 강화
물건 소비보다 비일상적 경험 (콘서트, 여행, 공연, 문화 행사 등)에 더 많은 예산이 할당되는 추세가 관찰됩니다. (포커스온경제) - 자기 보상 / 정서적 소비
불안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, 소비는 단순히 물질 만족이 아니라 정서적 보상 수단으로 인식됩니다. ‘나에게 주는 위로’의 의미가 강합니다. (조선일보) - 소비 품목의 선택적 변화
브랜드나 품질은 여전히 중요하나, 소비 항목의 재배치가 이루어집니다. 예를 들어, 식비에서는 PB(자체 브랜드)나 할인 제품을 선택하고, 여가나 취미 비용은 오히려 증가시키는 식의 변화가 보고됩니다. (다음) - 세대 특성의 차이
특히 20대·30대 젊은 세대에서 이 소비 패턴이 뚜렷하다는 분석이 많습니다. 이들은 미래 불확실성과 경제적 부담 속에서도 ‘작은 행복’을 위해 돈을 쓰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. (다음)
3.3 사례 및 통계
- NH농협은행의 소비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, 20~30대는 백화점 지출이 4% 감소한 반면, 공연 티켓 구매나 여가시설 이용은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. (다음)
- 또 다른 보도에서는 “러닝화나 건강식품” 등 자기 관리형 소비 항목이 증가한 점을 트리토노믹스의 대표적 현상으로 들고 있습니다. (다음)
- 언론 기사에서는 “선물·대접(Treat)”과 “경제(Economics)”를 합친 단어로 설명되며, 경기 침체 속에서도 심리적 만족을 위한 소비 흐름이라는 정의가 자주 등장합니다. (매일경제)
3.4 시사점 & 한계
시사점:
- 브랜드나 기업은 소비자의 ‘정서적 소비 빈 공간’을 주목해야 합니다.
- 고급 경험이나 프리미엄 서비스, 커스텀/특화된 상품 등이 기회 영역이 될 수 있습니다.
- 마케팅 전략에서는 단순한 가격 경쟁보다는 감성, 경험, 위로 요소가 중요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
한계 및 주의점:
- 이러한 소비 흐름은 지속 가능한 소비 패턴이라기보다는 단발적 보상 소비의 특성을 가질 수 있어, 장기적으로 보면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- 통계적으로 실질 소득, 여유 자금, 신뢰 소비 지표 등과 연결하여 분석해야 왜 이러한 선택을 하는지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- “트리토노믹스”라는 용어 자체가 아직 학계보다는 언론/마케팅 중심에서 쓰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, 객관적인 지표와 실증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.